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2024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을 통해 수집한 위해정보를 분석한 결과 가정 내 사고가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한 것으로 발표했다.
2024년 CISS에 접수된 위해정보는 총 8만5639건으로 전년(7만9264건)대비 8.0%p(6375건) 증가했으며 이는 202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이 중 모든 연령대에서 가정 내 사고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신체적 취약 계층인 ‘영유아(75.0%)’와 ‘고령자(68.4%)’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영유아(0~5세)’의 가정 내 안전사고(7830건)의 주요 원인은 ‘추락(3252건, 41.5%)’으로 이 중 ‘침대(1550건, 47.7%)’에서 발생하는 비율이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특히 ‘기저귀 교환대(144건)’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2021년(51건) 대비 182.4%p 증가해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령자(65세 이상)’은 ‘미끄러짐·넘어짐(7432건, 69.0%)’이 가장 많았다. 특히 ‘욕실(3338건, 45.0%)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전년(1542건) 대비 116.5%p 증가했으며 욕실 바닥에서 미끄러지거나(3174건) 문틀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86건)가 대부분이었다.

‘영유아’의 위해증상은 타박상(1735건, 22.2%)이 가장 많았으며 신체 발달이 미완성된 만큼 뇌진탕(858건, 11.0%)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령자’ 또한 타박상(4011건, 37.3%)이 최다였으며 약화된 신체로 인해 골절(1588, 14.8%)의 비율이 다른 계층보다 높았다.
소비자원은 가정 내 추락·미끄러짐 안전사고는 무엇보다 ‘사전 예방’이 최우선임을 강조했다. 소비자원은 가정 내 설치된 가구 등의 위해요소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침대·기저귀 교환대 등에 낙상방지 기구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으며 욕실·화장실 등에 밝은 조명과 미끄럼 방지 타일 등을 사용해 ‘영유아’ 및 ‘고령자’ 계층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을 말했다.

이외 계층의 가정 내 주요 위해원인을 살펴보면 △‘어린이(6~12세)’는 ‘미끄러짐·넘어짐(465건, 24.1%)’ △‘청소년(13~18세)’은 ‘식품 섭취에 의한 위험 및 위해(285건, 39.1%)’ △‘청년(19~34세)’은 ‘식품 섭취에 의한 위험 및 위해(973건, 32.3%)’ △‘성인(35~64세)’은 ‘기타 불량 및 고장(5048건, 32.3%)’이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