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26일(현지 시각) 개인형 AI 비서(PAA)가 인공지능(AI) 시대의 새로운 게임체인저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에 참석 중인 유 사장은 행사장인 ‘피라 그란 비아’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고 “‘에이닷(SKT의 인공지능)’이 꿈꾸는 미래가 바로 그것이고 그 부분에서 엄청난 시장이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사장은 과거 인터넷 시대를 전통 기업이 아닌 구글·네이버와 같은 순수하게 새로운 ‘게임체인저’들이 지배했다며 PAA를 반드시 빅테크들이 잘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게임체인저는) 새로운 스타트업에서 나올 수 있고 저희 같은 통신사업자에서도 나올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유 사장은 “에이닷으로 완전한 게임체인저 서비스는 아직 만들지 못하고 있다”면서도 “글로벌에서도 PAA 서비스를 별도로 준비하는 게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글로벌 텔코(통신사) AI 얼라이언스(GTAA)’ 창립총회를 통해 대륙별 주요 통신사들과 통신사 특화 거대언어모델(LLM)을 개발할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서도 “함께 (AI) 어시스턴트를 만들고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AI 시대를 ‘골드러시’ 시절과 비교하면 “그 시절 청바지나 곡괭이를 팔았던 사람들이 오늘날에는 반도체나 데이터센터를 만드는 회사”라며 “당분간 AI로 실제 돈을 버는 기업은 AI 데이터센터(DC)와 AI 반도체 회사들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SKT 역시 AI 데이터센터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계열사 사피온의 AI 칩 개발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유 사장은 “AI 데이터센터의 폭발력이 굉장히 크다”며 “연내에 국내에서 가시적인 AI 데이터센터 서비스를 시작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앞으로 AI 시장이 추론 쪽으로 가면 사피온의 신경망처리장치(NPU) 수요가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앞으로 산업계에서 버티컬 LLM(특정 사업에 특화된 LLM 기술)을 만들어내는 편에 있는 사업자와 그렇지 않은 사업자의 차이는 굉장히 커질 것”이라며 “이번 얼라이언스를 통해 버티컬 LLM을 만들어낸다면 전체 판을 바꿀 수 있고 다른 산업과의 경쟁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