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미디어
‘무례 언어’ ‘혐오 언어’ 판치는 포털사이트
유튜브보다 포털뉴스 댓글에 무례·혐오 언어 많다
기사 마음에 안 들면 바로 탈퇴하거나 반박 댓글
임유이 기자 기자페이지 + 입력 2025-02-23 09:48:02
▲ ‘언론정보연구’에 의하면 유튜브보다 포털뉴스 댓글에 무례·혐오 언어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
 
악성 댓글이 사회적 문제가 되는 요즘 유튜브 영상의 댓글보다 포털사이트 뉴스 댓글에서 무례 언어혐오 언어가 더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언론정보연구에 실린 언어 사용과 의견 양극화에 따르면 사람들은 특정 이슈에 대한 보도를 일차적으로 접할 때 유튜브보다 포털 사이트에 떠오르는 감정에 기반한 댓글을 더 많이 다는 것으로 파악됐다.
 
나은영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교수 등 연구진은 대통령 지지율(202251일부터 1) 여성가족부 폐지(202211일부터 1) 화물연대 총파업 등 노조 파업(202261일부터 1) 등 세 가지 이슈와 관련해 네이버 뉴스 댓글 및 유튜브 영상 조회수 10위까지 댓글을 분석했다.
 
무례 언어는 개인이나 집단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하하는 욕설·비방 등 언어적인 표현, 혐오 언어는 특정 집단의 고유한 특성을 근거로 삼아 적대적이거나 편견적인 표현을 하고 증오와 차별을 옹호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연구 결과 포털뉴스 댓글에서 무례 언어 2844(23.9%) 혐오 언어는 893(7.5%) 무례+혐오 언어 237(2%)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댓글에서는 무례 언어 1212(12.3%) 혐오 언어 105(1.1%) 무례+혐오 언어 44(0.4%)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는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뉴스를 접하는 통로가 바로 인터넷 포털임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정파성(진보·보수·무관)과 언어 존중(낮음·중간·높음) 등 항목도 추가됐다. 이슈와 정파성에 따른 연구 결과를 보면 대통령 지지율 이슈의 경우 유튜브에서는 보수 대상 댓글에서 2.6%, 포털뉴스에서는 진보 대상 댓글에서 4.4%의 혐오 언어가 관찰됐다.
 
여가부 폐지 이슈의 경우 유튜브에서는 대체로 혐오 언어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포털뉴스에서는 진보 대상 혐오 언어가 2.8% 나타났다.
 
노조 파업 이슈의 경우 유튜브에서는 혐오 언어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포털뉴스에서는 진보 대상 혐오 언어가 2%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네이버는 네이버 뉴스 댓글 악플 탐지 기술 클린봇은 혐오·비하·차별 표현 탐지 업그레이드를 20236월 말 진행했고, 지속적으로 네이버 악플 노출 비율은 줄어드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한편, 20~60102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상대적으로 진보 성향자들은 혐오 언어를, 보수 성향자들은 무례 언어를 피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자신의 성향과 다른 뉴스를 발견했을 때 진보성향의 경우 비추천또는 싫어요를 누르거나 팔로우 취소 또는 탈퇴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고, 보수성향의 경우 반박 댓글을 작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스카이데일리는 온라인 판 스카이데일리닷컴과 32면 대판으로
    매일 발행되는 일간종합신문 스카이데일리(조간)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후원자 분들께는 지면광고를 하고자 하실 경우
    특별 할인가격이 제공됩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1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댓글 : 0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 특별시 중구 새문안로 26(충정로1가, 청양빌딩) 7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민경두,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