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기후 증상에 고물가 기조가 지배적인 가운데 식품 물가 인상에 이은 편의점 택배비용도 다음 달부터 인상되면 물가 인상대열에 합류한다.
22일 CJ대한통운은 인상률과 관련해 5월1일부터 편의점 접수 일반택배 운임을 50원 인상한다고 밝혔다. CJ대한통운은 최근 이와 같은 결정 사항을 GS25·CU·이마트24에 공지했다. 이에 GS25와 이마트24는 일괄적으로 100원씩 가격을 인상하며 CU는 무게·권역에 따라 100에서 400원 사이에서 인상 폭을 적용할 계획이다.
올해 초 CJ대한통운·롯데글로벌로지스·우체국 소포는 당분간 인상 계획이 없음을 시사했으며 한진·로젠택배는 올해 상반기 동안 택배 요금을 동결하겠다고 결정한 바 있다. 이는 통상 연초에 원가 상승 기류에 따라 인상이 결정되는 흐름을 깨고 물가안정에 동참하기 위한 취지이다.
다만 원가가 상승하며 CJ대한통운의 편의점 택배비 인상은 불가피하게 됐다. 이 흐름의 첫 주자로 CJ대한통운이 편의점 택배비용 인상을 확정하며 다른 택배업체들의 합류 여부에 대해서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현재는 편의점 세븐일레븐의 제휴 택배사인 롯데글로벌로지스만 인상 계획이 없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이와 관련해 업계에서는 편의점 택배 서비스 가격을 연쇄적으로 올리는 양상에 대해 향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을 표명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이번 계약판가 조정은 당사와 계약한 편의점 일부만이 해당한다”며 “ 는 유가와 최저임금 등 인상 요인에 따라 작용한 가격 인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인상 결정은 개별고객사인 편의점 업체들과 가격 협상 과정에서 비용을 올린 것이며 당분간 일괄적으로 판가인상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못박았다. CJ대한통운은 또 “마트나 이커머스(전자상거래) 등 유통업체의 인상 계획은 없다”고 확실시했다.
한편 지난해 1월 택배업체들의 인상으로 GS리테일은 GS25 편의점의 ‘반값택배’ 단가를 200원에서 300원가량 올렸으며 3월에는 CU편의점에서 ‘끼리택배(알뜰택배로 명칭 변경)’의 운임을 200원에서 300원까지 인상한 바 있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