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연재기획
강동완의 국경포커스 [87] 북녘 주민이 평양 백화점에서 물건을 산다고?
강동완 필진페이지 + 입력 2024-11-07 06:30:12
  
▲ 강동완 동아대 하나센터장·강동완TV 운영자
1030일 평양에서는 제15차 평양제1백화점 상품 전시회가 열렸다. 평양제1백화점 준공식 당시 김정은은 태양절을 앞두고 수도의 거리에 또 하나의 멋들어진 종합 봉사 기지, 인민들의 물질 문화 생활을 질적으로 높이는 데 실질적으로 이바지하게 될 백화점이라고 했다
 
북한 당국은 날로 높아 가는 우리 인민들의 지향과 요구를 원만히 충족시킬 수 있게 질 좋은 생활필수품들과 대중 소비품들을 충분히 마련하여 놓고 팔아 주어 인민들의 생활상 편의를 보장하여야 한다고 말한다.
 
북한 당국의 선전처럼 북한 주민들은 과연 질 좋은 생활필수품과 대중 소비품을 충분히 구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북한·중국 국경에서 바라본 북녘 주민의 삶을 보면 나온다. 그 삶의 모습들을 보면 북한 당국의 말이 여지없이 거짓임을 알 수 있다.
 
길 위에 지나는 사람들의 행색은 남루하며 표정은 더없이 무겁기만 하다. 화장기 전혀 없는 여성의 얼굴은 뷰티 관련 제품이 차고 넘쳐 나는 우리네 삶과 비교하면 미안한 마음까지 든다. 몇 시간을 걸어야 겨우 닿을 수 있는 장마당까지 한 묶음의 배추를 짊어지고 팔러 가는 여인네의 등허리는 굽었다. 삶의 무게에 짓눌린 한 여인의 모습을 본다.
 
김정은의 부인 리설주가 명품백을 들고 호화스러운 사치를 누리는 동안 북·중 국경에서 마주한 저들의 손에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질 생존의 가방이 들려 있었다. 상점이라고 쓴 조그만 건물에선 과연 어떤 인민 소비품이 그들의 필요를 채워 줄 수 있을까.
 
시골 마을에 있는 상점이라서 그렇다 한다 하더라도 사실 북·중 국경에서 그나마 그만한 상점도 찾기가 어려울 만큼 흔하지 않다. 평양제1백화점에 상품이 넘쳐난다고 북한 당국은 자랑하지만 정작 북한 주민 대다수는 백화점이라는 단어조차 알지 못한다.
 
대형 쇼핑몰·유통센터·물류센터·창고형할인매장 등의 단어가 그들에겐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북한에서 일명 밀차라 불리는 손수레는 개인이 겨우 만들어 물건을 옮기는 수단이 된다. 물건을 운송할 수단도, 사고팔 여력도 없으면서 인민 소비품 향상이라는 선전 구호는 오늘도 평양 한복판에 내걸렸으리라. 지금 우리만 누리는 이 풍요로움이 그저 미안할 뿐이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시대의 금기를 깨는 정론지 스카이데일리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만들어집니다.

    매월 5만 원 이상 정기 후원 독자께는
    스카이데일리 신문과
    스카이데일리가 발행하는 단행본을
    드립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541 세신빌딩 9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민경두,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