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제약·바이오·의료
SK바이오팜 美 신경학회 세노바메이트 발작 감소 효과 발표
반응성 신경자극(RNS)데이터 통해 효과 객관적 입증
다양한 환자군 대상 임상 및 실사용 데이터(RWD)발표
허승아 기자 기자페이지 + 입력 2025-04-07 10:04:30
▲ SK바이오팜 ‘엑스코프리’(유럽 제품명 : 온투즈리, 성분명 : 세노바메이트) SK바이오팜 제공
 
SK바이오팜의 미국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는 5일부터 9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제77회 미국신경과학회(AAN) 연례학술대회에서 ‘세노바메이트’의 주요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세노바메이트 관련 발표는 세노바메이트가 발작 감소 및 뇌전증 관리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뒷받침하는 임상 결과와 실사용 데이터(RWD)를 포함한다.
 
루이스 페라리 SK라이프사이언스 의료 부문 부사장은 “SK라이프사이언스는 연구와 교육을 통해 뇌전증 환자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시킴으로써 뇌전증 관리의 새로운 기준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이번 연구는 반응성 신경 자극(RNS) 데이터를 객관적 지표로 활용해 세노바메이트 및 기타 부가 항경련제(ASM)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미국신경과학회(AAN)에서 발표된 연구는 국소 발작을 가진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한 미국 내 다기관 후향적 관찰 연구로 최소 2주 이상 세노바메이트 50mg/일 이상을 부가 요법으로 복용한 환자들의 RNS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베이스라인(8주) 대비 치료 기간(12주) 동안 뇌전증파 발생 빈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며 1차 평가 지표를 충족했다. 뇌전증파의 발생 빈도는 베이스라인인 평균 15.7회/28일 대비 최종 관찰 시점에서 평균 2.5회/29일로 약 84% 감소했다.
 
가장 흔한 이상 반응으로는 어지러움과 졸림이 보고됐다. 이에 대해 SK라이프사이언스는 “세노바메이트의 용량을 점진적으로 증량하거나 병용하는 기타 항경련제 용량을 감량하는 방식으로 개선됐다”고 전했다. 
 
한편 SK라이프사이언스는 이번 학회에서 세노바메이트의 치료 효과, 안전성 및 치료적 잠재력을 다각적으로 분석한 총 6건의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한다. 
 
SK라이프사이언스가 포스터 발표한 6개의 연구 결과를 포함한 미국신경과학회에서 발표된 초록은 AAN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스카이데일리는 온라인 판 스카이데일리닷컴과 32면 대판으로
    매일 발행되는 일간종합신문 스카이데일리(조간)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후원자 분들께는 지면광고를 하고자 하실 경우
    특별 할인가격이 제공됩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댓글 : 0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댓글이
독자댓글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 특별시 중구 새문안로 26(충정로1가, 청양빌딩) 7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민경두,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