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경영·CEO
기업ESG경영평가시스템 <94>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겉핥기 ESG 경영… 복지부 지적사항만 40여 건 <94>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높은 청렴의식에 비해 낮은 사회적 책임의식 개선해야
5년간 징계 건수 3건… 유아 휴직 제도는 ‘유명무실’
스카이데일리 기자페이지 + 입력 2023-02-16 17:17:11
▲ 김백건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연구원
 지난해 1월 피 한 방울로 250가지의 질병을 진단할 에디슨이라는 혈액 테스트기를 개발했다고 홍보한 미국 테라노스의 창업자인 엘리자베스 홈즈가 유죄 판결을 받았다. 250가지가 아니라 겨우 5가지 정도의 간단한 질병만 진단할 수 있었지만 거짓말로 막대한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기 때문이다.
 
무병장수를 원하는 인간의 욕망을 실현시켜줄 신의료기술은 체외 진단부터 인공장기 연구까지 다양하다. 4차 산업혁명으로 고도화된 인공지능(AI)·빅데이터(Big Data)·3D 프린터 등의 혁신 기술이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신의료기술 평가에 관한 보건의료 정책 수립에 이바지하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스카이데일리·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NECA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ESG 경영 선포식 개최 & 경영체계 확립
 
지난해 9NECAESG 경영 선포식을 개최하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의료기술평가 전문연구기관으로 지속 발전하겠다고 밝혔다. 2021ESG 경영체계 확립을 위해 이사회 내에 컨트롤 타워인 ESG경영소위원회 설치 근거를 명문화하고 실무 추진 조직인 ESG경영추진단을 신설했다.
 
원장 산하에 감사팀·연구윤리팀·청렴옴부즈만·행동강령 책임관을 두고 윤리헌장·윤리실천강령·임직원 행동강령·임원직무청렴계약제 운영지침·연구윤리지침 등을 제정했다. 인권경영 선언문을 발표했으며 인권침해 신고센터를 개설해 운영 중이다.
 
2013~2015년 윤리경영시스템 구축, 2016~2018년 윤리경영 실천체계 정립 및 확산, 2019~2021년 윤리경영체계 고도화 및 국민신뢰 제고 등 중장기 추진전략과 과제를 설정했다. ESG 경영 실천과제 27·추진과제 9·추진전략 4개로 ESG 경영을 완수할 계획이다.
 
2021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NECA6건의 지적을 받았다. 지적 사항은 유효성이 입증되지 않고 중대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미용·건강 주사의 오남용에 대한 대책 수립 제한적 의료기술에 대한 관리·감독 방안 마련 정책 사각지대의 연구주제 발굴 등이다.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 지적사항은 20214020222건 등 2년간 42건으로 집계됐다. 지적 내용은 예산 조정·집행 부적정 혁신의료기술 대상 여부 평가 세부 기준 미흡 조건부 사용 의료기술 객관적 평가체계 부재 등으로 다양했다.
 
노동조합은 단일노조로 운영되며 지난해 331일 기준 가입 대상 인원은 126명이다. 조합원은 정규직 20·무기계약직 9·비정규직 2명 등으로 노조 가입률은 24.6%에 불과하다.
 
2021년 기준 부채총계는 66억 원이며 자본총계는 52억 원으로 부채비율은 127.78%. 부채는 201844억 원 201953억 원 202058억 원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자본총계는 201815억 원 201919억 원 202025억 원으로 매년 확대됐다.
 
2021년 매출액은 220억 원으로 2020192억 원 대비 14.8% 증가했다. 다른 해의 매출액을 살펴보면 2017325억 원 2018160억 원 2019170억 원 등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은 201717400만 원 적자를 기록한 이후 흑자로 전환됐다. 흑자 규모는 20181억 원 20194억 원 2020 5억 원 202126억 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 크게 보기=이미지 클릭 / [그래픽= 오동훈] ⓒ스카이데일리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직원 규모에 비해 봉사활동·기부금액 미미
 
2021년 정규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5842만 원, 무기계약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3716만 원으로 무기계약직 평균 연봉이 정규직의 62.3%. 정규직 여성의 연봉은 5648만 원으로 남성의 연봉 6706만 원 대비 84.2%.
 
지난해 331일 기준 5년간 징계 건수는 20193건뿐이다. 징계 사유는 채용 관련 부적정 결과 초래 1연구비(물품구매) 부당사용 2명 등이다. 징계 종류는 견책 3명으로 수사기관에 고발하지 않았다.
 
사회공헌활동에서 봉사활동 횟수는 2017420185201932020720215회로 연간 1~2회에 불과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다 많지만 한국전기안전공사·한국에너지공단·한국가스안전공사·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적다.
 
연간 기부 금액은 2017515만 원 2018176만 원 2019426만 원 20201735만 원 2021563만 원으로 직원이 126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소액이다.
 
지난 3년간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은 20197200만 원 20202900만 원 20218100만 원으로 조사됐다. 총구매액 대비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 비율은 20194.42% 20201.37% 20212.54%를 기록했다.
 
·가정 양립 지원제도 중 육아 휴직 사용자는 201712201814201934202030202125명으로 집계됐다. 남성 사용자는 2017020180201912020120211명으로 제도 자체가 유명무실한 실정이다.
 
홈페이지에 소개된 ESG 워너비 활동은 인턴즈의 상상은 현실이 되다 ESG 경영정보를 제공하는 알··E·(알아두면 쓸 데 있는 ESG 잡학사전)을 주제로 카드뉴스 제작 및 배포 등을 포함한다. ESG 잡학사전은 ESG 개념·등장 배경·확산·평가지표·공공부문 ESG 경영의 중요성 등을 포함한 교재라 볼 수 있다.
 
2019년부터 폐기물 발생량 급감
 
사업장별 에너지 총사용량은 20173.60TJ(테라줄) 20183.71TJ 20194.39TJ 20204.75TJ로 집계됐다. 2017년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온실가스 감축률은 201953.026% 202060.698% 202155.873%로 조사됐다. 온실가스 기준 배출량은 2019·2020·20218394tCOeq(이산화탄소 환산t)으로 동일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3943tCOeq 20203299tCOeq 20213704tCOeq2020년 감소했다가 2021년 다시 증가했다.
 
녹색제품 구매 실적 비율은 201996.67% 202091.30% 202183.19%를 기록했다. 녹색제품 구매액은 20192900만 원 20204200만 원 202128700만 원 등이다. 2021년 녹색제품구매액이 급증했으나 구매 실적 비율이 하락한 것은 총구매액으로 계산했기 때문이다.
 
사업장별 폐기물 발생 총량은 201716.57t 201817.36t 20190.18t 20200.19t 등으로 조사됐다. 폐기물 발생량은 건물 전체 폐기물 발생량을 연구원 임차면적 비율로 산정한 결과다. 2019년부터 연구원이 늘어나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해야 하지만 급감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탄소 배출 저감·환경보호 노력 양호
 
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2021ESG 경영체계 확립을 위해 ESG경영소위원회·ESG경영추진단 신설뿐 아니라 지난해 ESG 경영 선포식을 개최했다. 윤리경영·인권경영에 관심을 두고 ESG 경영을 위한 추진체계를 마련한 것은 긍정적인 요소다. 다만 ESG 헌장을 제정하지 않았으며 감독기관인 국회·보건복지부 지적사항도 적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많다.
 
사회(Social)=무기계약직 연봉이 정규직 대비 62.3%한국전기안전공사 61.8% 한국승강기안전공단 59.8% 한국에너지공단 45.6%보다 높지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88.1%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71.4%보다 낮다.
 
징계건수가 20193건밖에 없어 청렴의식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봉사활동이 연평균 4.8회에 불과하고 기부금도 2021년 기준 연간 1인당 5만 원에도 미치지 못해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전환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임직원에게 ESG 경영 마인드를 제고시킬 ESG 잡학사전을 마련한 것은 훌륭하다.
 
환경(Environment)=2019·2020년 대비 2021년 녹색제품 구매 실적이 증가한 것은 긍정적인 요인이나 2020년 대비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난 것은 부정적인 요소에 해당된다다만 탄소배출을 줄이고 환경보호에 앞장서기 위해 소등 캠페인 건강 걷기 캠페인 분리배출 개선 캠페인 플로깅(Plogging) 활동 등을 벌이고 있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시대의 금기를 깨는 정론지 스카이데일리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만들어집니다.

    매월 5만 원 이상 정기 후원 독자께는
    스카이데일리 신문과
    스카이데일리가 발행하는 단행본을
    드립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좋아요
감동이에요
화나요
슬퍼요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541 세신빌딩 9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민경두,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