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유통·물류·광고
식품업계 역대급 실적·급여 상승에 소비자 가격 인하 요구 이어져
식품 원재료 가격 하락에도 물가 변동 없어 업계에 물가 안정 요구 빗발쳐
업계, 원재료 외 비용 상승을 고려하면 가격 인하는 쉽지 않다는 입장
노태하 기자 기자페이지 + 입력 2024-03-18 10:04:42
▲ 서울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식품 원재료 가격의 하락세에도 가공식품·외식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상황에서 일부 식품 기업이 창사 이후 최대 실적을 거두면서 제품 가격 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1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달보다 0.7% 하락한 117.3이다. 이 지수는 지난해 7124.6에서 지난달까지 꾸준히 하락세다.
 
곡물 가격지수는 113.8로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인 20223(170.1) 대비 33.1% 떨어졌다. 유지류 가격지수는 20223월 최고점인 251.8에서 지난달 120.9로 절반 수준이 됐다.
 
이에 따라 원재료의 국제 가격 하락으로 식품 기업이 제품 가격을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밀가루·식용유 원재료인 소맥·대두유 가격은 20223분기 이후 계속 하락세다.
 
정부도 기업의 물가 안정 동참을 요구하고 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0일 농협 하나로마트를 방문해 물가 안정을 실현하기 위해 정부뿐만 아니라 자체 할인 행사·가격 인하 노력 등 유통·식품 기업의 적극적인 동참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훈 농식품부 차관은 13일 서초구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19개 식품사 대표·임원과 간담회를 열고 국제 원재료 가격 변화를 탄력적으로 가격에 반영해 물가 안정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식품기업인 오리온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924억 원이었고 이 밖에도 농심 2121억 원·삼양식품 1468억 원·빙그레 1122억 원·풀무원 620억 원 등이 사상 최대 이익을 기록했다.
 
직원들의 급여도 올랐다. 지난해 오리온 직원 1인당 평균 급여액은 전년 대비 10% 늘어난 8800만 원이었다. 빙그레도 11.8% 증가한 약 6000만 원이었다. 지난해 롯데웰푸드의 직원 1인당 평균 급여액은 전년 보다 7.1% 오른 5600만 원 수준이었다.
 
물가 당국은 기업들에게 가격 인하를 권고하며 민생 품목 담합 발생 가능성을 두고 상시 모니터링에 나섰다. 지난해에는 정부 권고로 라면··과자 등 일부 제품 가격이 인하됐으나 품목이 한정되고 실적에 도움이 되는 주력 제품은 빠졌다는 비판도 나왔다.
 
이에 대해 식품업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는데 정부의 인상 자제 압력으로 물가 안정 기조에 동참해왔고 원재료 외 비용 상승을 고려하면 가격 인하는 쉽지 않다는 것이 업계 입장이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시대의 금기를 깨는 정론지 스카이데일리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만들어집니다.

    매월 5만 원 이상 정기 후원 독자께는
    스카이데일리 신문과
    스카이데일리가 발행하는 단행본을
    드립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541 세신빌딩 9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민경두,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