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잇소리는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그 사이에 덧생기는 소리’를 말한다.
‘ㄴ첨가’도 사잇소리 현상의 하나이다. 표준어 규정 제30항의 1·2·3은 ‘사이시옷이 붙은 단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고 규정되어 있어 ‘사이시옷’을 인정하고 있다.
사이시옷 규정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3.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일부(숫자·헛간·툇간 등)
콧날[콛날→콘날]·툇마루[퇻ː마루→퇸ː마루]·아랫니[아랟니→아랜니]·뱃머리[밷머리→밴머리] 등은 ‘배-놀이[船遊]·코-날[鼻線]·비-물[雨水]·이-몸[齒齦]·무시(無市)-날·보(洑)-물·패(牌)-말’과 같은 형식이다. 이 낱말들은 자음 동화 현상(ㄷ+ㄴ→ㄴ+ㄴ·ㄷ+ㅁ→ㄴ+ㅁ)이 일어나 [밴노리·빈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여 ‘뱃놀이·콧날·빗물·잇몸·무싯날·봇물·팻말’로 적는다.
이렇게 마무리를 했지만 우리말 문법을 잘 모르는 독자에게는 무리가 아닐 수 없다. 자꾸 읽어 콩나물 자라듯이 하는 수밖에….
중부대 한국어학과 교수·한국어문학회 회장
후원하기